음악이 매력적인 자산이 된다, 뮤직카우 앱으로 보기

Need help?

  • Q. 거래수수료가 있나요?

    마켓에서 구매∙판매가 체결되면 거래수수료가 발생해요. 

    구매 체결 시 
    • 1주당 체결 금액의 1.0%
    • 한 번에 5주 이상 구매 시 0.8% 
    • 정정 및 재주문 시 1.0%

    판매 체결 시 
    • 거래 주수와 관계없이 체결 금액의 1.0% 
  • Q. 예치금이 있는데 주문이 안돼요.

    하루 동안 너무 많이 거래했다면 예치금이 있어도 주문이 안될 수 있어요.

    뮤직카우는 고객 보호와 안전한 거래를 위해 매매회전율을 일 단위로 제한하고 있어요. 

    매매회전율은 얼마나 자주 사고 팔았는지를 보여주는 비율로 자주 거래할수록 높아져요. 

    뮤직카우는 일 매매회전율 한도를 100%로 설정하고 있어 100% 초과 시 거래할 수 없어요. 주문 가능한 금액이 늘어나면 매매회전율이 낮아지기 때문에 예치금을 입금하거나 대기 중인 주문을 취소하면 더 거래할 수 있어요.

    매매회전율 산정 기준이 되는 주문 가능 금액에는 세금과 거래 수수료가 포함되지 않아요.







  • Q. MCPI가 뭔가요?

    ‘MCPI’는 ‘MUSIC COPYRIGHT PROPERTY INDEX’의 약자로 ‘음악 저작권 지수'를 의미해요. 

    코스콤과 협의해 개발된 세계 최초의 저작권 기반 지수로, MCPI를 통해 시장의 전반적인 흐름을 확인할 수 있어요.

    MCPI는 뮤직카우 플랫폼에서 거래되고 있는 전체 곡들의 전일 대비 등락폭을 계산해 산출돼요. 
  • Q. 서킷브레이커가 뭔가요?

    서킷브레이커는 음악 저작권 지수, ‘MCPI(MUSIC COPYRIGHT PROPERTY INDEX)’가 급락할 때 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마켓 거래를 일시 중단시키는 제도예요.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되면 새로운 주문과 주문 정정을 할 수 없고 주문 취소만 할 수 있어요.

    MCPI 지수가 하한가에 도달할 때까지 서킷브레이커가 연속 발동될 수 있어요. 

  • Q. 음악증권을 구매하고 바로 판매할 수 있나요?

    구매하신 음악증권은 바로 판매할 수 있어요. 

    판매가 체결되려면 고객님이 설정한 판매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다른 사람이 구매 주문을 넣어야 해요.

    거래 체결 전까지 판매 주문은 대기 상태로 유지돼요. 
  • Q. 호가 단위는 어떻게 되나요?

    호가는 100원 단위로 적용돼 있어요.
  • Q. 주문을 할 수 있는 가격 범위가 있나요?

    마켓에서는 현재 1주 이상 체결될 수 있는 가장 유리한 가격 기준 주문 금액의 범위가 정해져 있어요.

    주문 가능 금액 범위(단위: 100원)
    • 구매: 가장 유리한(낮은) 구매가 +400원 이하
    • 판매: 가장 유리한(높은) 판매가 -400원 이상

    예시
    • 현재 가장 낮은 구매 가능 금액이 10,000원이라면, 10,400원 이하로 주문할 수 있어요.
    • 현재 가장 높은 판매 가능 금액이 10,000원이라면, 9,600원 이상으로 주문할 수 있어요. 

    이 기준은 구매자와 판매자간 금액이 일치하면 무조건 거래되는 ‘다자간 상대매매’에서 가격을 잘못 입력해 발생할 수 있는 주문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 마련됐어요.
  • Q. 세금이 발생하나요?

    뮤직카우에서 음악증권 거래를 통해 발생하는 모든 수익은 관련법에 따라 ‘배당소득’으로 분류돼요.

    배당소득의 세율은 수익금의 15.4%로, 소득세 14%와 지방세 1.4%로 구성돼요.

    뮤직카우에서 발생하는 배당소득
    • 매달 저작권료를 정산받을 경우
    • 수익증권 판매로 차익이 생긴 경우

    건별 원천징수 세액이 1,000원을 넘으면 수익에서 세액을 공제하고 지급해요.

    관련 질문
  • Q. 세금신고는 어떻게 하나요?

    배당소득은 고객님의 다른 금융소득과 합산해 세금과 별도 신고 여부가 결정돼요. 

    총 금융소득이 2천만원 이하인 경우
    세금 신고를 하지 않아도 돼요.

    총 금융소득이 2천만원 초과인 경우
    다른 종합소득과 합산해 고객님이 직접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해요.

    기타소득도 고객님의 다른 기타소득과 합산해 세금이 결정돼요.

    총 기타소득이 3백만원 이하인 경우
    세금 신고를 하지 않아도 돼요.

    총 기타소득이 3백만원 초과인 경우
    다른 기타소득과 합산해 고객님이 직접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해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은 매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이며, 
    신고는 홈택스 또는 소재지 관할 세무서 방문, 세무사 사무실 의뢰로 할 수 있어요.


    관련 질문

    세금은 세법 변경 또는 과세관청의 유권해석에 따라 변경될 수 있어요.
    종합소득세 신고 관련 자세한 내용은 국세청을 통해 확인해 주세요.

  • Q. 세금은 어디서 확인하나요?

    배당소득
    저작권료 정산, 수익증권 판매 수익에 대한 세금은 키움증권(1544-9000)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기타소득
    포인트 캐시백, 이벤트 경품 당첨 및 2023년 9월 25일 이전에 발생한 수익에 대한 세금은 뮤직카우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678

전화문의 | 평일 월요일 ~ 금요일 10:00~17:00 / 1522-6101
1:1문의 | 평일 월요일 ~ 금요일 09:00~18:00
*주말 및 공휴일 휴무